반응형
GTX D노선
'김부선' 김포 장기∼부천 종합운동장 확정
지난 6월 29일 국토교통부는 철도산업위원회 심의를 열고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1∼2030)을 확정했습니다.
이른바 'GTX D'로 불리는 서부권 광역급행철도(GTX) 노선의 서울 강남 직결이 결국 무산됐습니다.
우선 GTX D노선은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안 초안대로 김포 장기∼부천 종합운동장만을 연결하는 것으로 확정됐습니다.
국토부는 앞서 지난 4월 22일 한국교통연구원의 연구 용역 결과를 토대로 계획안 초안을 공개한 바 있습니다.
이 초안에서 GTX D노선은 장기∼부천종합운동장만을 연결하는 것으로 계획돼, 수도권 내 서부권 지역민들은 해당 노선을 '김부선'이라고 부르며 반발했습니다.
계획 수립 단계에서 인천시는 인천공항과 김포를 양 기점으로 삼는 'Y'자 형태의 110㎞ 노선을, 경기도는 김포에서 강남을 지나 하남까지 잇는 68㎞ 노선을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입니다.

김부선 확정은 경제성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경기도 건의안(김포~강남~하남)의 경우, 사업비가 6.4조원이 예상되고
인천시 건의안(인천~강남~하남)의 경우, 사업비가 무려 9.5조원이 예상됩니다.
'김부선'의 경우에는 2.2조원의 사업비가 예상되니 누가 봐도 경제성면에서 큰 차이가 납니다.
'김용선'
국토부는 다만 GTX D노선을 GTX B노선(송도∼마석)과 연계 운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추후 GTX B노선 사업자와 협의를 거쳐 부천종합운동장에서 GTX B노선과 선로를 같이 쓰는 방식으로 용산역 등 서울 도심까지 열차 직결 운행을 추진한다는 구상입니다.
GTX B노선 직결 운행 시 김포 장기에서 여의도까지 이동에는 24분, 장기에서 용산까지 이동에는 28분이 걸릴 것으로 국토부는 전망했습니다.
'서울 5호선 김포·검단 연장'
또 국토부는 서부권 교통 여건을 고려해 '서울 5호선 김포·검단 연장' 사업을 '추가 검토 사업'으로 새롭게 반영했습니다.
추가 검토 사업은 장래 여건 변화에 따라 추진 검토가 필요한 사업을 말합니다.
다만 GTX D노선이 당초 지자체 요구안대로 강남을 거쳐 하남으로 직결돼야 한다는 지역 주민의 목소리가 여전히 높아 이들의 반발이 쉽게 가라앉을지는 미지수입니다.
국토부는 관계자는 "수도권 서부권의 교통 혼잡 문제 개선을 위해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외에도 다양한 철도 노선 간 연계성을 강화하고, 철도 외에도 도로, 버스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적극 검토·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안'(2021~2025)
지난 7월 7일, 정부가 2025년까지 전국 대도시권을 잇는 광역철도 41개 노선을 신설하는 등 대도시권 광역 교통 개선을 위해 5년 동안 7조 1000억원을 투입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노선의 강남 직결 무산으로 논란이 일자 서울 지하철 2·5호선을 인천·김포 지역으로 연장하는 방안도 검토한다고 합니다.
▶수도권에는 대장홍대선, 위례과천선, 제2경인선, 신구로선, GTX D노선, 송파하남선, 인천2호선 고양연장 등 15개 구간 광역철도와 검단-대곡 구간 광역도로를 설치합니다.
▶성남-복정 등 5개 구간에 광역 BRT를 운행하며 청량리역 등 22개 지역에 환승센터를 마련합니다.
▶인천 2호선 안양 연장 등 5개 노선은 '추가 검토 사업'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추가 검토 사업은 장래 여건 변화 등에 따라 추진을 검토할 필요가 있는 사업을 가리킵니다.
▶서울 6호선 구리남양주 연장, 서울 2호선 청라 연장, 별내선 의정부 연장, 서울 5호선 김포검단 연장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반응형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GTX C노선 정리 (0) | 2021.07.29 |
---|
댓글